RULA와 REBA의 적용 신체 부위 비교: 근골격계 부담 작업 분석 및 평가
근골격계 부담 작업(Work-related musculoskeletal disorders, WMSDs)은 근육, 뼈, 관절, 인대, 신경 등 근골격계에 영향을 미치는 질환으로, 작업 환경 개선을 위한 노력이 중요합니다. 이러한 노력의 일환으로 RULA(Rapid Upper Limb Assessment)와 REBA(Rapid Entire Body Assessment)와 같은 작업 분석 및 평가 도구가 활용되고 있습니다.
RULA와 REBA 개요
* RULA (Rapid Upper Limb Assessment)
상지(팔, 어깨, 손목, 손)에 대한 근골격계 부담을 평가하는 도구입니다. 1980년대 영국 Loughborough 대학교에서 개발되었습니다. https://ergonomics.org.uk/
* REBA (Rapid Entire Body Assessment)
RULA보다 더 포괄적으로, 전신(머리, 목, 몸통, 상지, 하지)에 대한 근골격계 부담을 평가하는 도구입니다. 1990년대 영국 Loughborough 대학교에서 RULA를 발전시켜 개발되었습니다. https://ergo-plus.com/reba-assessment-tool-guide/
적용 신체 부위 비교
신체 부위 | RULA | REBA | 비교 |
---|---|---|---|
머리 | - | O | REBA에서만 평가 |
목 | - | O | REBA에서만 평가 |
몸통 | 몸통 구부리기, 몸통 회전 | 몸통 구부리기, 몸통 측굴, 몸통 회전 | REBA에서 측굴 추가 평가 |
상지 | 어깨, 팔, 팔꿈치, 손목, 손 | 어깨, 팔, 팔꿈치, 손목, 손 | 동일 |
하지 | - | 허리 구부리기, 다리 구부리기, 무릎 각도 | REBA에서 다양한 하지 자세 평가 |
장단점 비교
기준 | RULA | REBA |
---|---|---|
장점 | - 간단하고 배우기 쉬움, 빠른 평가 가능 - 상지에 대한 전문적인 평가 제공 |
- 전신에 대한 포괄적인 평가 제공 - 다양한 작업 자세 평가 가능 |
단점 | - 하지 평가 불가능 - 목, 머리 평가 불가능 |
- 상지 평가에 비해 복잡 - 평가 시간 상대적으로 길어짐 |
자료 출처
- Ergonomics and Human Factors Research Group. RULA. (n.d.). Retrieved June 13, 2024
- Ergonomics and Human Factors Research Group. REBA. (n.d.). Retrieved June 13, 2024
- 한국산업보건안전공단. 근골격계질환 예방의 위한 인간공학적 작업 분석 및 평가 지침. (2014). Retrieved June 13, 2024
결론
RULA와 REBA는 근골격계 부담 작업의 위험 요소를 평가하는 데 유용한 도구이지만, 적용 신체 부위와 장단점이 다릅니다. 따라서 작업의 특성에 맞는 도구를 선택하여 사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상지 작업 위험 요소 평가: RULA 권장
- 전신 작업 위험 요소 평가: REBA 권장
- 간편하고 빠른 평가: RULA 권장
- 포괄적이고 다양한 자세 평가: REBA 권장
RULA와 REBA의 적용 고려 사항: 심층 분석 및 활용 가이드
1. 작업 특성에 따른 적용 고려
앞서 언급했듯이, RULA와 REBA는 적용 신체 부위와 장단점이 다릅니다. 따라서 작업의 특성을 고려하여 적절한 도구를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상지 중심 작업
주로 팔, 어깨, 손목, 손 등 상체를 사용하는 작업 (예: 조립 작업, 컴퓨터 작업, 정밀 작업)
RULA 사용 권장: 상지에 대한 전문적인 평가 제공
전신 활용 작업
다양한 신체 부위를 사용하거나 자세 변화가 큰 작업 (예: 운반 작업, 건설 작업, 청소 작업)
REBA 사용 권장: 전신에 대한 포괄적인 평가 제공, 다양한 자세 평가 가능
작업자 특성 고려
개인의 신체적 특성 (나이, 성별, 체격 등) 고려 필요
신체적 제약이 있는 작업자는 REBA의 보다 심층적인 평가가 유용할 수 있음
2. 평가 결과 해석 및 활용
RULA와 REBA는 각각 점수를 통해 작업의 근골격계 부담 수준을 평가합니다. 평가 결과는 다음과 같이 활용될 수 있습니다.
위험 수준 파악
- RULA: 4점 이상, REBA: 11점 이상은 조치가 필요한 위험 수준
- 점수가 높을수록 근골격계 질환 발생 위험이 높아짐을 의미
작업 개선 방안 수립
- 평가 결과를 바탕으로 작업 자세 개선, 작업 환경 개선, 작업 방법 개선 등의 방안 마련
- 기술적 해결책 도입, 교육 및 훈련 실시, 근무 시간 조정 등을 고려
건강 관리 프로그램 개발
- 근골격계 부담 작업자를 위한 건강 관리 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
- 정기적인 건강 검진, 스트레칭 교육, 근력 강화 운동 제공 등이 포함될 수 있음
3. 추가 고려 사항
작업 분석 및 평가는 단순히 도구 사용으로 끝나는 것이 아니라, 평가 결과를 바탕으로 실제 개선 노력과 지속적인 관리가 중요합니다.
전문가의 도움을 받아 보다 정확하고 심층적인 평가를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작업자들의 참여와 의견 수렴을 통해 보다 효과적인 작업 환경 개선을 추진해야 합니다.
4. 관련 자료
- 한국산업보건안전공단. 근골격계질환 예방의 위한 인간공학적 작업 분석 및 평가 지침
- 안전보건공단. 근골격계질환예방. (n.d.). Retrieved June 13, 2024, from https://kosha.or.kr/kosha/business/preventivecare_d_c.do
- 한국산업보건공단. 근골격계질환 유해요인조사의 작업분석․평가도구
RULA와 REBA는 근골격계 부담 작업의 위험 요소를 평가하고 개선하는 데 도움이 되는 유용한 도구입니다. 하지만, 작업의 특성, 작업자 특성 등을 고려하여 적절한 도구를 선택하고, 평가 결과를 실제 개선 노력과 지속적인 관리에 활용해야 합니다.
RULA와 REBA의 적용 신체 부위 비교: 근골격계 부담 작업 분석 및 평가